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마당] 자랑스러운 한인 후세들

한인 이민 역사도 오래되었다. 자녀 교육을 위해 고국을 떠난 1세들은 먼 미국까지 와서 몸이 부서져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일했다. 그 결과 1.5세와 2세들이 어느 민족보다도 교육을 많이 받았다. 1세와는 달리 그들은 전문직을 가졌고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친구의 자식이 잘됐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나는 그들과 같은 힘든 이민 생활을 거쳤기에 내 자식 일인 양 가슴이 뭉클해진다. 한인이라는 생각에 마구 자랑하고 싶다. 내가 이렇게 자랑하고 싶은데 그 부모야 오죽하겠는가! 커다란 징이라도 두드리면서 큰소리 내어 자랑해도 된다.     아주 오래전, 내가 퀸즈 어느 성당에서 라인 댄스를 춘다는 중앙일보에 난 내 글을 읽고 독자가 찾아와 함께 춤을 춘 적이 있다. 그녀는 무용을 전공했다. 키가 크고 인물이 훤칠했다. 나는 그녀의 외모에 약간 주눅이 들었지만, 소탈한 그녀 성격으로 친구가 되었다. 우리는 북클럽에 조인했고 지금까지도 좋은 만남을 이어오고 있다.     그녀의 딸 아그네스 김(Agnes Kim)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그렘린: 모그와이의 비밀(Gremlins: Secrets of the Mogwai)로 제3회 어린이 및 가족 창작 예술 에미상에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최우수 캐스팅상을 받았다. 이 시상식은 2025년 3월 15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텔레비전 시티 스튜디오에서 열렸다. 이 작품은 인기 있는 그렘린 프랜차이즈의 프리퀄로, 많은 팬에게 사랑받고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애니메이션에서 캐스팅상은 목소리 연기자들을 잘 선정하고 조합한 공로를 인정받는 상이므로, 기여가 높이 평가된다.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에 온 동기 중 회화 전공자는 월트 디즈니에서 만화를 그렸고 조각 전공자는 치공 쪽 일하며 이민 생활 기반을 다졌다. 독창성이 요구되는 예술 분야인 애니메이션으로 에미상을 받은 친구 딸이라서 무척 자랑스럽다.     나는 이민 생활 어려움 속에서 자란 아이들이 잘됐다고 부모들이 소식을 전할 때마다 만성 체증이 확 뚫리는 쾌감을 느낀다. 이민자 부모들은 누구나 똑같은 어려움을 뼈저리게 겪었기 때문이다. 먼 타국에서 언어에 늘 주눅이 들어 힘겹게 살면서 자식을 그만큼 키웠다는 것은 물론 아이들도 노력했지만, 부모의 뼈 깎는 노력 없이는 힘들다. 우리는 누구의 자식이든 잘 되면 한국인으로 함께 아주 큰 소리로 자랑하고 또 자랑합시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한인 후세 한인 후세들 한인 이민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2025-04-03

“금융인 후배들 돕고 싶어 한인 은행사 정리”

“제 인생의 한 조각인 한인은행의 역사를 알려 미지의 길에 선 후배들에게 작은 등불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 펜을 들었습니다.”     자산 규모 180억 달러의 한인 최초 리저널뱅크를 탄생시킨 주역 가운데 한명인 고석화 뱅크오브호프 명예회장의 소감에선 겸손이 짙게 배어났다.   “10년 전부터 자서전을 써야 한다는 권유가 많았습니다. 계속 고사했습니다. 미주한인은행 40여년의 기록을 남기는 것이 (당신의) 의무라는 말과 기업가 그리고 이민자로서 경험한 위기와 이를 해결한 (당신의) 노하우와 지혜가 다른 이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말에 용기를 내어 회고록에 도전하게 됐습니다.”   고 회장은 1년 반 동안 회고록을 집필했다고 회상했다. 이런 그의 노력이 수많은 인재를 길러냈던 전 대학 총장들로부터 ‘인생의 지침서’와 ‘희망 전도서’라는 찬사를 끌어냈다. 특히 7장 ‘성공의 길을 묻는 젊은이들에게’는 '경영학 지침서’라는 평이다.     케빈 김 뱅크오브호프 행장은 금융인들의 필독서라며 추천했다. 그는 “(우리는) 성공한 사람들의 화려함만 보며 부러워할 뿐 그 이면에 감춰진 리더로서의 고뇌와 고독은 보지 못한다”며 “성공을 하려면 실패라는 두려움을 이겨내는 용기와 신념이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고 회장의 회고록 ‘고독한 도전, 아메리칸 드림을 넘어’는 추천서, 7장으로 구성된 본문, 프롤로그, 에필로그, 포토 메모리로 구성됐다. 7장 본문 중 60%는 한인은행 이야기다. 두 차례의 금융 감독국 제재로 벼랑 끝에 놓였던 전 윌셔은행의 회생과 성장기 그리고 뱅크오브호프의 탄생 비화가 흥미진진하게 기록돼 있다. 중간중간 4.29 LA 폭동 같은 한인 사회의 중요한 역사도 생생하게 그려냈다.   주변의 지독한 만류에도 전 윌셔은행과 뱅크오브호프의 전신인 BBCN의 합병을 결정한 이유에 대해 그는 “기득권을 포기해서라도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같은 대형 한인은행을 만들어 한인 후세들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 사명감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인 1세가 세운 기반에 한인 2·3세 금융인들이 뒷받침한다면 뱅크오브호프가 BOA가 되지 못할 이유는 없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의 말처럼, BOA는 샌프란시스코의 이탈리아계 미국인이 설립한 뱅크오브이태리가 모태다.     고 회장의 인생 다른 목표인 나눔 실천을 위해서 2004년 설립한 고선재단과 자선 사업가에 대한 꿈에 대해 그는 “나를 지탱해준 힘의 원천인 어머니가 항상 과욕을 경계하고 남들과 더불어 살라는 가르침을 이루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자식들에게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해야 한다고 수백번 말하는 것보다 직접 보여주는 게 최선이라 생각해 가족들로 재단 이사회를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이 재단을 통해 지난 17년간 250여만 달러가 소외계층 지원 LA 비영리 단체 20여 곳에 전달됐다.     이밖에도 연대 객원 교수로서의 이야기와 LA 최대 병원인 시더스사이나이 병원 이사로서의 활동도 흥미를 끈다. 특히 7장은 성공에 도달하는 다양한 방법을 안내한다. 일례로 모든 것은 변한다는 ‘제행무상(諸行無常)’의 지혜를 그는 이렇게 풀었다.   “변하지 않는 건 없습니다. 호황이 영원하지 않듯이 불황도 마찬가집니다. 호황일 때 불황을 대비하면 됩니다.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며 노력하는 순간을 즐기고 결과는 신에게 맡기고 기다린다면  노력에 대한 보답은 반드시 있습니다.”     고 회장은 또 “성공에는 목표가 필요하지만, 돈이 인생의 목표가 되면 돈의 노예로 전락한다”며 “돈은 살아가는 수단일 뿐 의미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회고록은 한국의 교보문고, YES24.com.aladin.co.kr, LA 갤러리아마켓 3층 세종문고에서 구매할 수 있다. 5월 말에는 전자책(e-book)도 나오며 영문판도 곧 출간될 예정이다. 진성철 기자은행사 금융 미주한인은행 40여년 대형 한인은행 한인 후세들

2022-05-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